목차
한국에서 성씨와 항렬(돌림자)은 가문의 중요한 전통 중 하나로, 자손들이 태어날 때마다 항렬표를 참고해 이름을 짓습니다. 광산 김씨는 고려 시대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가문으로, 항렬(돌림자)을 철저하게 지키는 가문으로 유명 합니다.
광산 김씨 돌림자 안내
광산 김씨는 한국의 대표적인 김씨 가문 중 하나로, 전라도 광산(현재의 광주광역시)이 본관입니다. 김흠운을 시조로 하여 역사가 깊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많습니다. 광산 김씨 가문은 자손들이 태어날 때마다 항렬에 맞춰 이름을 지어 가문의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광산 김씨 돌림자 5개파 항렬표 (문정공파, 양간공파, 문숙공파, 사온직장공파, 낭장공파)에 대해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돌림자 항렬이란?
항렬(돌림자)은 같은 가문 내에서 세대를 구분하는 규칙으로, 자손들의 이름에 같은 글자를 넣는 전통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가문의 질서를 유지하고, 서로의 세대와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부와 손자의 이름에 특정 글자가 공통적으로 들어가면 이들이 같은 항렬을 공유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광산 김씨 항렬(돌림자)의 중요성
광산 김씨는 특히 항렬(돌림자)를 철저하게 치키고 있는 가문 중 하나로, 이를 통해 자신의 뿌리를 인식하고, 조상과 후손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가문의 정체성 유지: 항렬(돌림자)을 통해 후손들이 광산 김씨 가문 000파에 속해 있음을 인식하고, 가문의 전통을 존중할 수 있습니다.
- 세대 간 관계 구분: 같은 항렬을 사용한 이름은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며, 이는 가문 내에서 서로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조상의 유산을 이어감: 항렬자는 단순히 이름 짓기의 한 방법이 아니라, 조상의 유산을 후손들이 이어받는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닙니다.
한 마디로 우리나라의 고유한 전통과 같은 문화로써, 계속적으로 이어나가는 것 자체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광산 김씨 돌림자 항렬표
광산 김씨는 문정공파, 양간공파, 문숙공파, 낭장공파, 사온직장공파로 총 5개의 파가 존재 하는데, 각 파별로 돌림자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각 파별 돌림자 항렬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정공파, 양간공파 돌림자 항렬표
문정 공파 양간 공파 |
36대: 솥귀현鉉 (김0현) | 37대: 길 영永 (김영0) | 38대: 강이름수洙 (김0수) | 39대: 얼굴용容 (김용0) | 40대: 가운데중中 (김0중) |
41대: 착할선善 (김선0) | 42대: 순박할순淳 (김0순) | 43대: 동녘동東 (김동0) | 44대: 불꽃환煥 (김0환) | 45대: 별 규奎 (김규0) | |
46대: 종 용鏞 (김0용) | 47대: 못 연淵 (김연0) | 48대: 심을식植 (김0식) | 49대: 빛날형炯 (김형0) | 50대: 땅 곤昆 (김0곤) |
문숙공파 돌림자 항렬표
문숙 공파 |
36대: 鎬호경(호)錫주석(석) | 37대: 源근원(원),漢한수(한) | 38대: 植심을(식),縈얽힐(영) | 39대: 熙빛날(희),光빛(광) | 40대: 中가운데(중),(성) |
41대: 착할선善 (김선0) | 42대: 순박할순淳 (김0순) | 43대: 동녘동東 (김동0) | 44대: 불꽃환煥 (김0환) | 45대: 별 규奎 (김규0) | |
46대: 종 용鏞 (김0용) | 47대: 못 연淵 (김연0) | 48대: 심을식植 (김0식) | 49대: 빛날형炯 (김형0) | 50대: 땅 곤昆 (김0곤) |
낭장공파 돌림자 항렬표
낭장 공파 |
36대: 울 명鳴 (김0명) | 37대: 이를 치致 (김치0) | 38대: 솥귀 현鉉 (김0현) | 39대: 큰물 홍洪 (김홍0) | 40대: 심을 식植(김0식) |
41대: 빛날 희熙(김희0) | 42대: 혿 규圭 (김0규) | 43대: 씨 종種 (김종0) | 44대: 클 호浩 (김0호) | 45대: 동녘 동東 (김동0) | |
46대: 잠잠할 묵默 (김0묵) | 47대: 실을 재載 (김재0) | 48대: 주석 석錫 (김0석) | 49대: 클 태泰 (김태0) | 50대: 기둥 주柱 (김0주) |
사온직장공파(광절공파) 돌림자 항렬표
사온 직장 공파 |
36대: 호경 호鎬 (김0호) | 37대: 淳순박할(순),泳헤엄칠(영) | 38대: 강이름 수洙 (김0수) | 39대: 꽃 영榮 (김영0) | 40대: 均고를(균),圭혿(규) |
41대: 鎰중량(일),鍾술병(종) | 42대: 탈 승乘 (김0승) | 43대: 동녘 동東 (김동0) | 44대: 그러할 연然 (김0연) | 45대: 터 기基 (김기0) | |
46대: 착할 선善 (김0선) | 47대: 한수 한漢 (김한0) | 48대: 올 내來 (김0내) | 49대: 밝을 병炳 (김병0) | 50대: 복돋울 배培 (김0배) |
💡Tip: 광산 김씨 족보는 이름, 배우자, 출생년도 등으로 쉽게 찾아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산 김씨 돌림자(항렬) 관련 FAQ
Q. 항렬이란 무엇인가요?
항렬은 같은 가문에서 세대 간의 서열을 나타내기 위해 이름의 한 글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항렬에 속한 사람들은 이름에 공통된 글자를 사용하여 서로 같은 세대임을 구분합니다. 광산 김씨 역시 이런 항렬 전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Q. 광산 김씨의 항렬은 어떻게 나뉘나요?
광산 김씨는 여러 파로 나뉘며, 각 파별로 항렬자가 다릅니다. 대표적으로 문정공파와 양간공파, 문숙공파 등이 있으며, 세대별로 정해진 항렬표에 따라 이름을 지어 가문 내 세대 구분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36세대에는 ‘호(鎬)’ 또는 ‘석(錫)’, 37세대에는 ‘원(源)’ 또는 ‘영(永)’을 사용합니다.
Q. 광산 김씨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특별하게 제재가 가해지거나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문의 전통적인 질서에서 벗어난 것으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가문의 규칙과 전통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특히 족보 작성 시 항렬자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항렬을 준수하여 이름을 짓는 것이 가문에서 권장됩니다.
Q. 광산 김씨의 항렬자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광산 김씨의 항렬자는 족보나 가문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에서 각 파별 항렬표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세대에 맞는 항렬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대에 맞는 항렬자를 사용하여 이름을 지을 수 있습니다.
Q. 광산 김씨에서 항렬자의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항렬자는 가문 내에서 세대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가문의 전통을 이어가는 중요한 일입니다. 이를 통해 같은 세대 사람들끼리의 서열을 구분하고, 가문 내 질서를 유지합니다. 항렬은 단순한 이름의 한 글자가 아니라, 가문 전체의 상징과 같습니다.
마치며…
광산 김씨 돌림자 항렬은 가문의 전통을 지키고 세대 간의 관계를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전통 문화 입니다. 이름 짓기는 단순한 행위가 아닌, 가문의 유산을 이어가는 과정이며, 항렬자를 이용해 이름을 지음으로써 가문의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조상과 후손 간의 유대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